티스토리 뷰

2025년 4월 1일부터 전국 고속버스에서 무료 와이파이(Wi-F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고속버스 이용객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이번 서비스를 도입했으며, 이를 통해 장거리 이동 중에도 데이터 걱정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번 서비스는 금호고속, 동부고속, 동양고속, 삼화고속, 속리산고속, 중앙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등 국내 주요 8개 고속버스 회사의 모든 노선(240개)과 차량(1724대)에 적용되었습니다. 일반, 우등, 프리미엄 버스를 포함한 모든 고속버스에서 이용 가능하며, 최대 속도는 400Mbps로 안정적인 인터넷 환경을 제공합니다.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의 주요 특징

이번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는 KT 통신망을 기반으로 제공되며, 별도의 비밀번호 없이 간단히 연결할 수 있습니다. 승객은 탑승한 고속버스 회사의 영문명이 적힌 와이파이망에 접속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중앙고속 버스는 ‘Joongang_Bus_Wifi’, 동부고속 버스는 ‘Dongbu_Bus_Wifi’로 표시됩니다.

 

서비스 속도는 최대 400Mbps로, 약 20초 만에 1GB 용량의 영화도 다운로드할 수 있을 정도로 빠릅니다. 이는 기존 KTX·SRT, 도시철도 및 시내버스에서 제공되던 무료 와이파이와 동일한 수준입니다.

“이번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통해 길게는 5시간 이상 운행하는 고속버스 안에서 승객들이 보다 편리하고 유익하게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엄정희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서비스 도입 배경 및 확대 계획

국토교통부는 스마트폰 대중화와 고속버스의 장거리 노선 특성을 고려해 이번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국민 스마트폰 보유율은 이미 95%를 넘어섰으며,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승객 중 절반 이상이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 변화에 맞춰 대중교통에서도 편리한 인터넷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 이번 정책이 추진되었습니다.

 

현재 무료 와이파이는 고속버스에만 적용되었지만, 국토부는 이를 시외버스로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재 일부 시외버스 노선(예: 인천공항행)에서만 제공되는 무료 와이파이를 점차 모든 시외버스로 확장해 더 많은 승객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과거에는 물리적 공급 수준(노선 수, 배차 간격 등)이 중요했다면 이제는 이용자의 편리성과 만족도가 대중교통 서비스의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 – 엄정희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무료 와이파이가 가져올 변화

무료 와이파이는 단순히 인터넷 사용 편의를 넘어 다양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장거리 이동 중 생산성 향상: 승객들은 이동 중에도 업무 이메일 확인, 자료 검색 등 업무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 여행 및 여가 시간 활용: 영화 감상, 음악 스트리밍 등으로 장거리 이동 시간을 보다 즐겁게 보낼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요금 부담 감소: 데이터 요금 걱정 없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을 줄여줍니다.
  • 디지털 격차 해소: 인터넷 접근성이 낮은 사용자들에게도 공평한 디지털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이번 서비스는 출퇴근길이나 여행 중 장시간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 승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인천공항에서 김해까지 약 5시간 반 동안 운행하는 노선에서도 무료 와이파이를 통해 지루함 없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향후 과제와 기대 효과

국토교통부는 이번 정책을 통해 대중교통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그러나 안정적인 와이파이 품질 유지와 더불어 시외버스로의 확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운영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또한 무료 와이파이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개발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고 기반 모델이나 승객 맞춤형 콘텐츠 제공 등을 통해 추가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도입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장거리 이동의 불편함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대중교통 수단에서 이러한 혁신적인 서비스가 확대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