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5년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도 법적 보호가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일부 조항만 적용되었으나, 올해부터는 임금, 근로시간, 휴게·휴일, 연장근로 등 핵심 근로조건이 모두 적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범위, 주요 변화, 실무상 유의사항을 최신 법령과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장 규모와 관계없이 모든 근로자는 평등하게 보호받아야 합니다."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범위

 

2025년부터 적용되는 주요 조항

  • 최저임금, 임금지급,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
  • 법정근로시간(1일 8시간, 1주 40시간) 및 연장근로 제한(주 12시간 이내)
  • 휴게시간(4시간 근무 시 30분, 8시간 근무 시 1시간 이상)
  • 주휴일, 연차휴가, 휴일근로수당,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지급
  • 근로계약서 작성·보관, 해고예고, 퇴직금 지급(1년 이상 근무 시)
  • 산업재해보상보험, 4대보험 가입 의무

적용 제외 또는 일부 적용 조항

  • 해고 시 사전 협의, 일부 징계 절차 등은 단계적 적용(2026년 전면 시행 예정)
  • 취업규칙 신고 의무는 10인 이상 사업장부터 적용
  • 노동조합 설립·가입, 부당노동행위 금지 등은 동일하게 적용
"5인 미만 사업장도 근로기준법의 핵심 보호를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주요 변화와 실무상 유의사항

 

2025년 주요 변화

  •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 주휴수당 등 임금 관련 조항 전면 적용
  • 근로시간·휴게시간 기록·관리 의무 강화(전자기록 3년 보관 권장)
  • 임금체불, 부당해고 등 위반 시 과태료 및 형사처벌 강화
  • 근로계약서 미작성, 임금명세서 미교부 시 즉시 과태료 부과
  • 산재보험, 4대보험 미가입 시 사업주 형사처벌 대상

 

실무상 유의사항

  • 근로계약서에 임금, 근로시간, 휴게·휴일 등 필수 기재
  •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시 반드시 가산수당 지급
  • 출퇴근·휴게시간 기록장치 도입(앱, 지문 등) 권장
  • 임금명세서 교부, 임금대장 3년간 보관 의무
  • 해고, 징계 등 인사조치 시 법정 절차 준수
"소규모 사업장도 법적 기준을 철저히 지켜야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자주 묻는 질문 Q&A

 

Q. 5인 미만 사업장도 연장근로수당을 받아야 하나요?
A. 네, 2025년부터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 퇴직금은 언제부터 지급되나요?
A.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경우 정규직·계약직·아르바이트 모두 지급 대상입니다.

 

Q. 임금명세서 미교부 시 어떤 처벌을 받나요?
A. 즉시 과태료가 부과되며, 반복 위반 시 형사처벌도 가능합니다.

 

Q. 근로계약서 미작성 시 불이익은?
A. 과태료 부과, 분쟁 발생 시 근로자 진술이 우선 인정됩니다.

 

Q. 산재보험, 4대보험 가입은 필수인가요?
A. 네, 모든 근로자에게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

 

2025년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는 모든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가 법적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무상 절차를 꼼꼼히 챙겨 건강한 일터를 만들어가시기 바랍니다. 본 글은 2025년 3월 고용노동부 공식 자료와 주요 언론 보도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추가 정보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적용 범위